여름철에는 더위로 잠이 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문을 열어두어도 여전히 뒤척이죠. 그래서 여름에 사용하기 좋은 시원한 이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시원하면서 포근하게 덮을 수 있는 여름 차렵이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은 여름 차렵이불을 고를 수 있는지 팁까지 살펴보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름 이불은 시즌 상품으로 무더위 수면 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구매하고 보니 품질이 좋지 않아 한철만 겨우 사용하고 버려야 하는 제품이 많죠. 따라서 소비자는 과대광고에 속지 않고 성능을 신중하게 살펴보고 구매해야 합니다. 특히 원단 1장으로 만든 홑이불의 경우에는 가볍고 시원하다고 광고하지만 세탁 한 번에 재사용이 불가능할 정도 내구성이 약합니다. 또 이불의 포근함을 느낄 수 없어 아쉽다는 이야기도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 여름 이불은 차렵이불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차렵 이불
차렵이불은 솜을 넣어 누빔 처리를 한 일체형 이불을 말합니다. 이불 겉감과 솜을 함께 누빔 했기 때문에 솜이 빠지거나 이동하지 않아 편리합니다. 차렵이불의 가장 큰 장점은 세탁 시 솜을 넣었다 뺐다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차렵이불은 보통 면 소재로 만들어지며, 자연스러운 터치감과 통기성이 좋은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겉감과 솜이 분리되지 않아 편리하고, 솜이 얇아 여름에도 포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름 차렵이불 소재
매년 여름마다 여름 차렵이불의 수요가 늘며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여름이불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시어서커, 인견, 냉감원단 이렇게 3가지로 추릴 수 있는데, 어떤 소재가 좋을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시어서커
시어서커 소재로 제작된 여름 차렵이불은 시중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소재입니다. 하지만 재구매율은 가장 낮은 편이죠. 그 이유는 시어서커의 특징 때문인데요. 통기성도 부족하고 냉감도 전혀 없어 처음 이불을 덮었을 때는 시원하다고 느끼지만, 수면 중 더위를 느끼게 됩니다.
즉 여름에 시원함을 주는 소재가 아님에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원하다'라고 광고하며 판매하는 것이죠.
또한 특유의 까슬거리는 촉감 때문에 붉어짐이나 알레르기 등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부가 예민하시거나 어린아이를 둔 부모님이라면 시어서커 이불 사용을 피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인견
인견은 나무나 종이 조각을 화학 용제로 녹이고 실로 뽑아내는 재생 섬유의 일종입니다.
인견은 가볍고 통기성이 뛰어나 여름철에 적합한 소재입니다. 또한 습기를 잘 빨아들여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도 적합하죠.
인견의 가장 큰 특징은 은은한 광택과 부드러운 터치감입니다. 일명 '냉장고 섬유'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인견의 냉감 특성 때문입니다. 인견은 통풍성이 좋아 피부에 닿았을 때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그러나 잘 구겨지고 목제를 사용해서 물과 접촉하면 수축이 잘 됩니다. 따라서 제품 수명이 많이 짧죠.
냉감 원단
냉감 원단은 착용자의 피부에 시원한 느낌을 주는 특수한 섬유 소재입니다. 이러한 냉감 효과를 내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여름철 의류, 침구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냉감 원단의 가장 큰 특징은 접촉 시 피부에 시원한 느낌을 주는 것입니다. 이는 주로 세 가지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첫째, 열 전도율이 낮은 특수 섬유를 사용하여 피부와의 접촉 시 열 전달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둘째, 흡습성이 뛰어난 섬유를 사용하여 피부의 열과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는 것입니다. 셋째, 상변환 물질(PCM)을 섬유에 혼합하여 체온에 반응해 냉감을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냉감 원단의 또 다른 특징은 흡한속건성*이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흡습성이 높은 섬유가 사용되어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해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운동복, 등산복 등 활동적인 의류에 많이 활용됩니다.
*흡한속건성이란, 인체 내 분비되는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흡수한 땀을 빠르게 배출하며 마르는 성질을 말합니다!
여름 차렵이불 선택 방법
여름 이불은 한철 사용하고 버리는 제품이 아닙니다. 제대로 된 제품을 구매하면 보관해 두었다가 다음 해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매년 여름 이불로 지출되는 돈을 막기 위해서는 품질 좋은 제품을 구매해야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시어서커, 인견으로 제작된 여름 차렵이불보다 냉감 원단으로 제작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냉감 원단 소재는 실제 시원함을 줄 수 있는 소재이며, 관리나 보관이 간편하기 때문입니다. 냉감 원단도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소재'인지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Q-MAX 지수 확인

Q-MAX 지수는 섬유 소재의 접촉 냉감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수는 섬유와 피부가 접촉했을 때 느껴지는 시원한 정도를 측정한 것으로, 값이 높을수록 더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Q-MAX 지수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0.1 이상이면 접촉 냉감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지수는 섬유의 열 전도율, 흡습성, 상변환 물질 함유량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열 전도율이 낮은 섬유일수록 피부와의 접촉 시 열 전달이 적어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흡습성이 높은 섬유는 땀을 빠르게 흡수하여 건조해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변환 물질이 섬유에 혼합되어 있으면 체온에 반응해 냉감을 발생시킵니다.
이처럼 Q-MAX 지수는 섬유 소재의 냉감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여름철 의류나 침구류 등을 선택할 때 이 지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MAX 지수가 높은 제품을 선택하면 피부에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어 더운 날씨에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여름 차렵이불 추천
0.1 이상의 접촉냉감지수를 가진 원단은 많지만 0.1XXX 처럼 소수점 차이로만 차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몇 시간 동안 서치한 결과 눈에 띄는 Q-MAX 지수를 가진 여름 차렵이불을 소개하고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Q-MAX 지수 약 0.32인 쿨맥스 소재를 사용해서 일반 냉감 원단보다 약 3배는 시원한 여름 차렵이불입니다.
쿨링 신소재인 쿨맥스는 4 특수 섬유가 엮인 형태로, 열과 수분을 빠르게 내보내 쾌적함을 유지합니다. 덕분에 이불을 덮고 있어도 답답함이나 더위를 느끼지 못하죠. 땀이 많은 사람도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통기성을 강화했습니다. 흡수된 땀은 이불이 머금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금방 공기 중으로 말려 수면 시간 내내 보송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몸에서 미끄러져 내리고, 포근함을 느낄 수 없는 일반 여름 이불과는 다르게, 냉감이불은 냉감 원단 사이에 스노우 화이버 내장재를 더해 포근함을 더했습니다. 덕분에 가볍고 부드러우면서 안정감 있는 무게로 편안한 숙면을 할 수 있습니다.
시원한 여름 차렵이불 구매 링크
냉감이불
프로젝트슬립
www.projectsleep.co.kr
오늘은 흘러내림 없이 시원하고 포근한 여름 차렵이불과 여러 소재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말씀드린 Q-MAX 지수를 꼭 확인하시어 돈 낭비하는 일 없이 쾌적한 환경에서 숙면하시길 바랍니다!
이 전 게시글 구경하기
▼▼▼▼▼
바디 필로우 부작용 모르고 있었다면, 무조건 보세요!
여름, 뜨거운 햇살에 녹아내리는 듯한 땀방울이 몸 곳곳에서 흘러내립니다. 이때 사용하면 좋은 아이스 바디필로우! 시원한 젤이 가득 담긴 바디필로우를 몸에 밀착시키면, 여름밤 달콤한 잠자
slowbloom.tistory.com
쿨매트 곰팡이 걱정 없는 시원한~ 쿨링 소재 쿨매트 추천
무더운 여름, 땀에 젖은 채로 잠들고 싶은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이때 쿨패드를 이용한다면 시원하고 상쾌한 기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땀으로 젖어가는 여름에 상쾌하고 시원하게 주
slowbloom.tistory.com
혹시 메모리폼 라텍스 차이를 모르진 않으시죠? 매트리스 소재 총정리
매트리스를 고르다 보면 여러 종류를 마주하게 됩니다. 스프링 매트리스와 에어 매트리스는 특징이 뚜렷해 헷갈리시는 분들이 적은 반면 메모리폼과 라텍스는 구분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
slowbloom.tistory.com